Skip to content

많고 영롱한 겨울철 산개성단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대상을 찍어봤습니다.

약간 푸른빛, 즉 젊은 별들의 모임인 M35 와 조금 늙어서 황색/적갈색 계열의 NGC2158 이 어울러진 모습이고
외국분들은 소금(M35)과 후추(NGC2158) 이라고 부르던데,  오랜만에 좀 이해가 쉬운 이름 인 것 같습니다.

성운을 찍는 것을 좋아하다보니 사실 산개성단을 좀 안찍어보고 있었는데.
막상 찍어보니 또 처리가 재밌네요.   시간이 애매할때마다 조금씩 다른 대상도 찍어보겠습니다.

# Date : 2013/10/03
# Location :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(지리산휴양림 입구 근처)
# Equipment
   * Mount : Mesu-200
   * Telescope : Takahashi E180ED, SX off axis guider
   * CCD : StarlightXpress SXVR-H694M (-20C), LRGB필터
# Processing : Pixinsight (Calibration/Stack/Non-linear His/NoiseReduction)
# Exposure 
   * L : 600 Sec X 8
   * RGB : 300 Sec X 4 (each channel)

(큰 사이즈 입니다.  클릭해서 크게 보세요)
SnP_GWKIM_RGB_03oct2013_s.jpg
  • 칼국수 2015.01.20 01:23
    ㅋㅋㅋㅋㅋㅋㅋㅋㅋ소금과 후추... 작명 센스가 좋네요..
?

Astrophotography

아름다운 밤하늘을 찍은 사진들 입니다

  1. The Iris nebular (NGC7023) 0 file

  2. The Rosette Nebular 0 file

  3. NGC7293, The Helix Nebular 0 file

  4. VDB142 in IC1396 0 file

  5. M52 & bubble Nebular 0 file

  6. NGC6888 0 file

  7. M20 & M21 (LRGB) 0 file

  8. M17 (HaRGB) 0 file

  9. M16 HaRGB 0 file

  10. M106 and Friends 0 file

  11. M27 (The Dumbbell Nebular) 0 file

  12. M13 (2nd trial of 2010) 0 file

  13. NGC7000 (북아메리카 성운) 0 file

  14. M8 (The Lagoon Nebular) 0 file

  15. NGC6888 Region (Hydorogen Alpha) 0 file

  16. M13 (헤르클레스 자리) 0 file

  17. M57 (The Ring Nebular) 0 file

  18. M106 0 file

  19. Jellyfish Nebular 0 file

  20. NGC7124 - Monkey Nebular 0 file

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
/ 6

Copyrightⓒ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by Gwangwook Kim / Email : applewo@gmail.com

Powered by Xpress Engine / Designed by Sketchbook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나눔글꼴 설치 안내


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.

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
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.

설치 취소